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808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47쪽

【香水錢】 佛祖統紀五十一 進納度僧 唐肅宗至德(756-757)初 宰相裴冕請鬻度牒 謂之香水錢 향수전(香水錢) 불조통기51. 진납도승(進納度僧) 당 숙종 지덕(756-757) 초 재상 배면(裴冕)이 도첩(度牒)을 팔기를 주청했으니 이를 일러 향수전(香水錢)이라 했다. 【香水海】 略稱香海 圍繞須彌山之..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46쪽

【向上宗乘】 無上至眞的禪宗旨意 ▲明覺語錄一 僧問 赴請雪竇 先至嘉禾 向上宗乘 請師擧唱 師云 鳥啼處處皆相似 향상종승(向上宗乘) 위없는 지진(至眞)의 선종 지의(旨意). ▲명각어록1. 중이 묻되 설두의 청에 다다르다가 먼저 가화(嘉禾)에 이르렀습니다. 향상종승(向上宗乘)을, 스님..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45쪽

【向上一路】 無上至眞之禪道 與向上一著 向上一竅同義 是千聖不傳之妙道 ▲五燈會元十八四祖仲宣 設或便向這裏見得倜儻分明 更須知有向上一路 향상일로(向上一路) 위없는 지진(至眞)의 선도(禪道)니 향상일착ㆍ향상일규와 같은 뜻. 이는 천성(千聖)이라도 전하지 못하는 묘도임.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44쪽

【向上事】 指禪人領悟微妙禪法 進入無上至眞之境界 ▲祖堂集八疏山 行脚時 到大安和尙處 便問 夫法身者 理絶玄微 不墮是非之境 此是法身極則 如何是法身向上事 安云 只這个是 향상사(向上事) 선인이 미묘한 선법을 영오(領悟)하여 위없는 지진(至眞)의 경계에 진입함을 가리킴. ▲조..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43쪽

【向上關棙子】 濟宗七事隨身之一 ▲五家宗旨纂要上濟宗七事隨身 四向上關棙子 迥出尋常 踏著便轉 향상관려자(向上關棙子) 제종(濟宗) 칠사수신(七事隨身)의 하나. ▲오가종지찬요상 제종칠사수신. 4. 향상관려자(向上關棙子) 심상(尋常)을 형출(迥出)하여 밟으면 바로 돌아간다. 【向..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42쪽

【向上鉗錘】 同向上鉗鎚 ▲普燈錄十一佛果克勤 一一塵中現無邊身 說無量法 猶只是順機敎 看窟竉著楔 而況提向上鉗錘 用作家爐鞴 향상겸추(向上鉗錘) 향상겸추(向上鉗鎚)와 같음. ▲보등록11 불과극근. 하나하나의 진중(塵中)에 무변신(無邊身)을 나타내어 무량법을 설하지만 오히려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40쪽

【香山】 ①位於河南省洛陽縣龍門山東 白樂天與佛光如滿 同住此山 自號香山居士 ②位於浙江省寧波府慈溪縣東三十五里 山中生産香草故名 [大明一統志四十六] ③又作香醉山 在無熱池之北 閻浮提洲之最高中心 漢所謂崑崙山也 俱舍論謂之香醉山 此山或卽今喜馬拉雅山山脈中 馬納沙湖..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39쪽

【香浮篆】 香煙浮篆文上也 ▲五家正宗贊四香林遠 水晶宮冷香浮篆 倚圓蒲宴霽月光風 향부전(香浮篆) 향연(香煙)의 부전문(浮篆文)이 오름. ▲오가정종찬4 향림원. 수정궁은 찬데 향부전(香浮篆)하고 원포(圓蒲)에 기대어 편안한데 제월(霽月)의 광풍(光風)이다. 【向北】 北方 ▲雲門廣..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38쪽

【向晚】 臨近晚上的時候 ▲註心賦一 廣(李廣)遂攜弓捉虎 至山向晚 見石似虎 挽弓射之沒羽 近前觀看 乃知是石 향만(向晚) 만상(晚上; 저녁 무렵)에 임근(臨近)한 시후(時候; 시각). ▲주심부1. 광(李廣)이 드디어 활을 휴대하여 범을 잡으려고 했다. 산에 이르러 향만(向晚)에 범과 흡사한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37쪽

【香林院】 位於四川省成都府灌縣西南靑城山 雲門文偃法嗣香林澄遠所住之寺 향림원(香林院) 사천성 성도부 관현 서남 청성산에 위치함. 운문문언의 법사 향림징원이 거주한 바의 사원. 【香林一燈】 禪苑蒙求中 香林一燈 (雲門法嗣 傳燈廿二)益州靑城香林院澄遠禪師 僧問 如何是室..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36쪽

【鄕老】 鄕里之宿老者 ▲五家正宗贊一南嶽石頭 在俗時 每厭鄕洞民多淫祀 輙奪牛毁祠而歸 鄕老不能禁 향로(鄕老) 향리의 숙로자(宿老者; 덕이 높고 경험이 많은 노인). ▲오가정종찬1 남악석두. 재속(在俗)할 때 향리의 동민(洞民)이 많이 음사(淫祀)함을 매번 싫어해 번번이 소를 빼앗고..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35쪽

【向道】 猶言對他說 對你說 ▲汾陽語錄下 更有人來說是非 向道余今識得爾 향도(向道) 대타설(對他說; 그를 상대로 설함), 대니설(對你說)이라고 말함과 같음. ▲분양어록하. 다시 어떤 사람이 와서 시비를 설하면 향도(向道)하되 내가 지금 너를 식득(識得)한다. 【鄕頭】 諸鄕人中 爲其..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34쪽

【鄕黨】 禪林寶訓音義 鄕黨 一萬二千家爲鄕 五百家爲黨 潙山警策句釋記上 鄕黨者 鄕 向也 謂衆人之所向也 黨 朋黨也 古以五百家爲黨 周禮云 百家之內曰鄕 漢志 以五家爲鄰 五鄰爲里 四里爲族 五族爲黨 五黨爲州 五州爲鄕 斯則以萬二千五百家而爲鄕也 ▲潙山警策 緬離鄕黨 鬀髮稟師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33쪽

【鄕曲】 鄕里 亦指窮鄕僻村 形容識見寡陋 曲 彎曲的地方 偏僻的地方 ▲祖庭事苑八 遠離鄕曲 脚行天下 향곡(鄕曲) 향리니 또한 궁향벽촌(窮鄕僻村)을 가리킴. 식견이 과루(寡陋)함을 형용. 곡(曲)은 만곡(彎曲)의 지방, 편벽된 지방. ▲조정사원8. 향곡(鄕曲)을 멀리 떠나 발로 천하를 다니..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32쪽

【向去】 ①今後之意 乃向來之對稱 與向後同義 ▲五宗錄二潙山 我將謂這矮子有長處 元來秪在這裏 此子向去若有箇住處 近山無柴燒 近水無水喫 ▲傳燈錄十五德山宣鑒 從今向去 不疑天下老和尙舌頭也 ②洞宗之擧唱謂向於正位爲向去 自正位來於偏位爲卻來 [象器箋六] 향거(向去) ①금후(今後)의 뜻. 향래(向來)의 대칭이며 향후와 같은 뜻. ▲오종록2 위산. 내가 장차 이르기를 이 난쟁이(矮子)가 나은 곳이 있다고 하렸더니 원래 단지 이 속에 있었구나. 이 자가 향거(向去)에 만약 저 거주하는 곳이 있다면 산을 가까이하매 땔 섶이 없으며 물을 가까이하매 마실 물이 없으리라. ▲전등록15 덕산선감. 금일로부터 향거(向去)에 천하 노화상들의 설두(舌頭)를 의심하지 않으리라. ②동종(洞宗)의 거창(擧唱)에서 이르기를 정위(正位)를 향함을 향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