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길료(吉嘹) 길료(吉嘹) 진설찰설치연설(塵說刹說熾然說) 삼세일체무간헐(三世一切無間歇) 길료설두이천장(吉嘹舌頭已千丈) 정안방제미면설(正按傍提未免屑) 석가엄실루천기(釋迦掩室漏天氣) 정명두구득일궐(淨名杜口得一橛) 칠요팔철만반설(七凹八凸萬般設) 지요교군자가헐(祇要敎君自家歇) 티..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본분초료(本分草料) 본분초료(本分草料) 미지생언지사(未知生焉知死) 불회여금회여시(不會如金會如屎) 본분초료무자미(本分草料無滋味) 일포능소만겁기(一飽能消萬劫飢) 생(生)을 알지 못하거늘 어찌 사(死)를 알겠는가 알지 못함은 금과 같고 앎은 똥과 같도다 본분초료(本分草料)가 자미(滋味)가 없지만 ..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태평(太平) 태평(太平) 인인진회도부의(人人盡懷刀斧意) 불견노화대료형(不見蘆花對蓼馨) 삼천검객금하재(三千劍客今何在) 독허장주치태평(獨許莊周致太平) 사람마다 다 도부(刀斧)의 뜻을 품어 갈대꽃이 여뀌의 향기를 마주했음을 보지 못하도다 삼천검객(三千劍客)이 지금 어디에 있는가 오직 장..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심산(深山) 심산(深山) 기괴암석형사호(奇怪岩石形似虎) 화소송수세여룡(火燒松樹勢如龍) 동운채무정가서(彤雲彩霧呈嘉瑞) 기화이초토방형(奇花異草吐芳馨) 심림종일인불래(深林終日人不來) 야래의구월공랑(夜來依舊月空朗) 분명일단풍류사(分明一段風流事) 차문여수교단장(借問與誰較短長) 기..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예불례(禮不禮) 예불례(禮不禮) 불례즉각자칭존(不禮則各自稱尊) 예배즉호상경중(禮拜則互相敬重) 야색약무산격단(夜色若無山隔斷) 월광직여수상통(月光直與水相通) 예배하지 않은 즉 각자 존귀하다고 일컬을 것이요 예배한 즉 호상(互相) 경중(敬重)하리라 야색(夜色)이 만약 산의 격단(隔斷)이 없으면..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응량(應量) 응량(應量) 석가의장륙(釋迦衣丈六) 미륵신천척(彌勒身千尺) 여하응량거(如何應量去) 회취자기적(會取自己的) 장단고저유당인(長短高低繇當人) 불회유여당철벽(不會猶如撞鐵壁) 일이삼사오륙(一二三四五六) 백일청천성두락(白日靑天星斗落) 석가의 옷은 장륙(丈六)이요 미륵의 몸은 천..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가석허(可惜許) 가석허(可惜許) 호일타모란화(好一朶牡丹花) 막안화가석허(莫眼花可惜許) 화락포지춘이로(花落鋪地春已老) 황앵지상분명어(黃鶯枝上分明語) 분명어가석허(分明語可惜許) 일식불래지하처(一息不來至何處) 아름다운 한 송이의 모란꽃이여 안화(眼花)하지 말라 가석허(可惜許)로다 꽃 떨..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요연니(了然尼) 요연니(了然尼) 말산불로정(末山不露頂) 산주비남녀(山主非男女) 관계복응작원두(灌谿伏膺作園頭) 이근보졸불수어(以勤補拙不須語) 거래금선화자(去來今禪和子) 수시남아수시녀(誰是男兒誰是女) 말산(末山)이 정상(頂上)을 드러내지 않으며 산주(山主)가 남자나 여자가 아니로다 관계(..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각철취(覺鐵觜) 각철취(覺鐵觜) 살일개환일개(殺一箇還一箇) 평생살우환무죄(平生殺牛還無罪) 선사무어정전백(先師無語庭前栢) 절기착과각철취(切忌錯過角鐵觜) 한 개를 죽이고 한 개를 돌려준지라 평생 소를 죽여도 도리어 죄가 없다 하였네 선사(先師)께서 뜰 앞의 잣나무를 말하지 않았다 하니 각철..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미후유(獼猴喩) 미후유(獼猴喩) 비여실내유일후(譬如室內有一猴) 일미후재실외호(一獼猴在室外呼) 내외미후응육창(內外獼猴應六窓) 내후수착상견료(內猴睡著相見了) 유비유여하료(有譬喩如何了) 초명작과문자첩(蟭螟作窠蚊子睫) 가두규운봉자소(街頭叫云逢者少) 비여(譬如) 실내에 한 원숭이가 있고 ..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미소(迷巢) 미소(迷巢) 용면생사작심마(用免生死作甚麽) 문지답지불생사(問底答底不生死) 일편백운횡곡구(一片白雲橫谷口) 미소귀조야태다(迷巢歸鳥也太多) 생사(生死)를 면함을 써서 무엇하려는가 묻는 것 답하는 것은 생사하지 않도다 한 조각 흰 구름이 계곡 입구에 가로놓이매 둥지를 미(迷)하..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과거구의(過去久矣) 과거구의(過去久矣) 고불과거구의재(古佛過去久矣哉) 막향자리멱사나(莫向者裏覓舍那) 심불시불지비도(心不是佛智非道) 각주심검시애자(刻舟尋劒是獃子) 옛 부처 지나가신 지 오래되었으니 이 속을 향해 사나(舍那)를 찾지 말아라 마음이 이 부처가 아니며 지혜가 도가 아니거늘 배에 ..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원사유감(遠嗣遺憾) 원사유감(遠嗣遺憾) 종상불조상전래(從上佛祖相傳來) 미불면품친전수(靡不面稟親傳授) 사숙원사상아손(私淑遠嗣喪兒孫) 유시아손불여무(有時兒孫不如無) 종상(從上)의 불조(佛祖)가 서로 전수(傳授)해 옴은 면품(面稟)하여 친히 전수하지 않음이 없도다 사숙(私淑)하여 원사(遠嗣)함은 ..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침선유(針線喩) 침선유(針線喩) 차사여인작침선(此事如人作針線) 불각실침심혼란(不覺失針心昏亂) 욕수취침맥일차(欲睡就枕驀一箚) 왈재자리골모한(曰在者裏骨毛寒) 이 일은 사람이 바느질을 함과 같나니 불각에 바늘을 잃어 마음이 혼란하다가 자려고 베개에 나아가매 문득 한 번 바늘에 찔리고선 가.. 태화당수세록 2019.08.09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청소선사(淸素禪師) 청소선사(淸素禪師) 복박난득위인사(福薄難得爲人師) 도두불위선사기(到頭不違先師記) 입불유이입마난(入佛猶易入魔難) 뇌관기허등한개(牢關豈許等閑開) 복이 엷으면 사람의 스승 되기 어려움을 얻나니 마침내 선사(先師)의 수기(授記)를 위배하지 않았네 부처에 들기는 오히려 쉽지만 .. 태화당수세록 2019.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