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1126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73쪽

【歸宗通】 宋代雲門宗僧慧通 住廬山歸宗寺 詳見慧通 귀종통(歸宗通) 송대 운문종승 혜통이 여산 귀종사에 주(住)했으니 상세한 것은 혜통(慧通)을 보라. 【歸宗賢】 宋代楊岐派僧正賢 後住廬山歸宗寺 詳見正賢 귀종현(歸宗賢) 송대 양기파승 정현이 후에 여산 귀종사에 주(住)했으니 상..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72쪽

【歸宗惲】 五代曹洞宗僧懷惲 居廬山歸宗寺 詳見懷惲 귀종운(歸宗惲) 오대 조동종승 회운이 여산 귀종사에 거주했으니 상세한 것은 회운(懷惲)을 보라. 【歸宗元】 宋代雲門宗僧了元 曾住廬山之開先歸宗 詳見了元 귀종원(歸宗元) 송대 운문종승 요원이 일찍이 여산의 개선ㆍ귀종에 거..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71쪽

【歸宗常】 唐代僧智常 嗣馬祖道一 元和(806-820)中 居廬山歸宗寺 詳見智常 귀종상(歸宗常) 당대승 지상이니 마조도일을 이었고 원화(806-820) 중에 여산 귀종사에 거주했으니 상세한 것은 지상(智常)을 보라. 【歸宗宣】 宋代臨濟宗僧可宣 住江州歸宗 詳見可宣 귀종선(歸宗宣) 송대 임제종..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70쪽

【歸宗較些】 禪苑蒙求拾遺 歸宗較些 廣燈錄曰 廬山歸宗寺智常禪師 黃檗曰 馬大師出八十四人善知識 問著箇箇屙漉漉地 祇有歸宗較些子 귀종교사(歸宗較些) 선원몽구습유. 귀종교사(歸宗較些) 광등록에 가로되 여산 귀종사 지상선사. 황벽이 가로되 마대사가 84인의 선지식을 배출했는..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69쪽

【鬼箭】 煞(凶神 如凶神惡煞)也 如中鬼箭 迷信者謂人體爲鬼箭射中卽致疾病 ▲禪門拈頌集第四○○則 拈頌說話云 鬼箭入心 人無不死也 落則人人必死也 ▲禪門拈頌集第四○○則天童覺 休道神鋒藏笑裏 須知鬼箭落風前 ▲慧暉語錄一 十月開爐上堂曰 鬼箭南山射石虎 神鋒北岳刺驪龍 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68쪽

【歸仗】 歸依 ▲洞山語錄 唯有佛菩提 是眞歸仗處 ▲梵琦語錄十八 善哉圓頂方袍 便是當來佛樣 心內坦然平夷 世間靡不歸仗 귀장(歸仗) 귀의. ▲동산어록. 오직 불보리가 있어 이는 진실로 귀장(歸仗)할 곳이다. ▲범기어록18. 선재로다, 원정방포(圓頂方袍)여/ 바로 이 당래의 부처의 모양..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67쪽

【鬼子母】 鬼子母神 梵漢兼稱訶利底母 訶利帝母 此翻爲愛子母 以其爲五百鬼子之母 故稱鬼子母 本爲惡神之妻 生子五百 因前生發願 食王舍城所有兒子 由其邪願 命終遂生爲藥叉 故至王舍城 專門竊食他人幼兒 佛陀欲訓誡之 遂藏其愛子 鬼子母神因而悲嘆痛傷 佛遂謂 汝有子五百 今僅取汝一子 汝已悲痛若是 然汝食他人之子 其父母之悲又將如何慟乎 鬼子母神聞而歸佛 立誓爲安産與幼兒之保護神 按南海寄歸內法傳一 西方諸寺祭鬼子母 於門屋處或食廚邊 塑畫母形抱一兒子 於其膝下 或五或三 以表其像 每日於前盛陳供食 若有疾病無兒息者 饗食薦之 咸皆遂願 其狀爲手持吉祥果之天女形 [摩訶摩耶經上 鬼子母經 經律異相四十六鬼子母先食人民佛藏其子然後受化] ▲禪門拈頌集第七一五則薦福逸 豈知鬼子母 失却愛子 無處尋蹤 深沙神倒被蛇纒 眼中出血 귀자모(鬼子母) 귀자모신(鬼子母神; 梵 Hārītī).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66쪽

【歸依法】 歸依法寶以爲藥也 大乘義章十云 憑法爲藥 故稱歸法 ▲雲門廣錄上 問 如何是露地白牛 師云 歸依佛 歸依法 歸依僧 귀의법(歸依法) 법보에 귀의하여 약으로 삼음. 대승의장10에 이르되 법에 의빙해 약으로 삼는지라 고로 명칭이 귀법이다. ▲운문광록상. 묻되 무엇이 이 노지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65쪽

【鬼酉】 醜字可拆成鬼酉二字 故用以指醜 ▲月磵語錄上 放下苕菷 提起苕菷 吽 王廾鬼酉 귀유(鬼酉) 추(醜)자를 가히 분해하면 귀(鬼)ㆍ유(酉) 2자를 이루므로 고로 추(醜)를 가리킴에 씀. ▲월간어록상. 초추(苕菷; 청소용 비)를 내려놓고 초추를 들어 일으킨다. 후(吽), 왕입귀유(王廾鬼酉..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64쪽

【貴要】 希望 貴 欲也 ▲碧巖錄第十六則 釋迦老子 初生下來 一手指天 一手指地 目顧四方云 天上天下 唯我獨尊 雲門道 我當時若見 一棒打殺 與狗子喫却 貴要天下太平 귀요(貴要) 희망. 귀(貴)는 욕(欲)임. ▲벽암록 제16칙. 석가노자가 처음 탄생해 내려올 때 한 손으로 하늘을 가리키고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63쪽

【鬼眼】 同鬼眼睛 ▲祖堂集七雪峰 問 但有施爲 盡是傍通鬼眼 如何是正眼 師良久 귀안(鬼眼) 귀안정과 같음. ▲조당집7 설봉. 묻되 단지 시위가 있으면 모두 이는 곁으로 귀안(鬼眼)에 통합니다. 무엇이 이 정안입니까. 스님이 양구했다. 【鬼眼睛】 鬼怪之眼睛 比喩不正見 或毫無價値之..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61-962쪽

【鬼市】 鬼怪群聚之處 ▲紹曇廣錄五 仙壇無客到 鬼市足人行 귀시(鬼市) 귀괴(鬼怪; 귀신과 요괴)가 무리로 모인 곳. ▲소담광록5. 선단(仙壇)에 객의 이름(到)이 없고 귀시(鬼市)에 사람의 다님이 가득하다. 【鬼神】 鬼爲六趣之一 神爲八部之通稱 有威云鬼 有能云神 △翻譯名義集二 鄭..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60쪽

【歸性】 攝有爲之事相 歸於眞如之實性 ▲宏智廣錄四 百川會海而成一味 萬法歸性而成一家 귀성(歸性) 유위의 사상을 거두어 진여의 실성으로 돌아감. ▲굉지광록4. 백천(百川)이 바다에 모여 일미를 이루고 만법이 귀성(歸性)하여 일가를 이룬다. ) --> 【歸省】 宋代臨濟宗僧 冀州賈氏子 年弱冠 易州保壽院出家受具 嗣首山省念 南嶽下九世 住汝州葉縣廣敎院 其住持枯淡嚴密 衲子畏之 [廣燈錄十六 五燈會元十一] 귀성(歸省) 송대 임제종승. 기주 가씨의 아들이며 나이 약관에 역주 보수원으로 출가하여 수구(受具)했음. 수산성념(首山省念)을 이었으니 남악하 9세. 여주 섭현의 광교원에 주(住)했는데 그는 주지하면서 고담(枯淡)하고 엄밀하여 납자가 그를 경외했음 [광등록16. 오등회원11]. ) --> 【貴姓】 詢問對方姓氏之敬稱 ▲祖堂..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59쪽

【鬼使】 佛敎神話影響下的民間傳說 謂人將死時 地獄閻王卽派遣使者來勾取性命 此使者稱爲鬼使 ▲祖堂集六洞山 鹽官法會有一僧知有佛法 身爲知事 未得修行 大限將至 見鬼使來取僧 귀사(鬼使) 불교 신화 영향 아래의 민간 전설에 이르기를 사람이 장차 죽으려 할 때 지옥의 염왕이 곧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58쪽

【歸伏】 歸服 歸順降服 ▲傳燈錄二第十五祖迦那提婆 時衆中猶互興問難 尊者析以無礙之辯 由是歸伏 귀복(歸伏) 귀복(歸服)이니 귀순하여 항복함. ▲전등록2 제15조 가나제바. 때에 무리 가운데서 오히려 서로 물음을 일으켜 힐난했다. 존자가 무애의 변설로 분석하자 이로 말미암아 귀복..